network
-
WEB - 웹과 통신CS/WEB 2021. 2. 10. 21:42
웹과 통신 웹의 동작 원리 웹 페이지 URL정보로 HTTP요청 메시지를 만든다. 입력한 URL주소를 DNS서버에서 조회하여 IP주소를 검색한다. 라우터를 통해 해당 서버의 게이트웨이까지 이동한다. ARP로 IP를 MAC주소로 변환한다. 대상 서버와 TCP 통신을 시도한다. 서버와 연결이 되면 HTTP프로토콜로 요청한 다음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만들어진 HTTP 응답 메시지는 온 방식 그대로 원래 컴퓨터로 전송한다. 도착한 HTTP 응답 메시지는 HTTP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 데이터로 변환된다. 변환된 웹 페이지는 웹 브라우저에 의해 출력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된다. CORS Cross Origin Resource Sharing. 현재 도메인과 다른 도메인으로 리소스가 요청되는 경..
-
Network - 캐시/쿠키/세션CS/Network 2021. 2. 10. 21:07
캐시/쿠키/세션 캐시 리소스 파일들의 임시 저장소. 같은 웹 페이지에 접속할 때 사용자의 PC에서 로드하여 서버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 이전에 사용되었던 데이터는 다시 사용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저장하여 페이지 로딩 속도를 개선한다. 쿠키/세션을 이용하는 이유 HTTP의 약점인 connetionless, stateless를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계속 커넥션을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서버 리소스 낭비가 줄어드는 것은 큰 장점이지만, 통신할 때마다 새로 커넥션을 만들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측면에서는 상태를 유지(인증 등)하기 위해 통신할 때마다 어떤 절차를 가져야 한다는 단점이 생긴다. 만약 쿠키와 세션이 없다면 어떤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넘어갈 때마다 인증을 다시 받아야 하는 것이다. 쿠키 클라이언트에..
-
Network - HTTPCS/Network 2021. 2. 10. 20:53
HTTP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하이퍼 텍스트(html) 문서를 교환하기 위해 만들어진 protocol. 요청/응답 구조로 통신이 이루어 진다. stateless: 요청이 오면 그에 맞는 응답을 한 뿐 요청/응답끼리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전의 요청과 응답에 대한 데이터가 필요할 때는 쿠키나 세션을 사용한다. 암호화 과정이 없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다. HTTPS HTTP + SSL(암호화) 기존의 HTTP는 TCP와 직접 통신했지만, HTTPS는 HTTP와 TCP 사이에 SSL이 끼워져 있는 것이다. HTTP는 SSL과 통신하고 SSL는 TCP와 통신하게 된다. 네트워크 상에서 중간에 제 3자가 정보를 볼 수 없도록 공개키 암호화를 지원한다. 안전하게 데이터를 주고..